건물 운영 시 소비되는 에너지와 발생되는 CO2에 대한 절감활동은 사회의 지속성장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기업의 사회적 책임입니다. 그에 따라 에너지와 CO2 배출량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인 EMS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. EMS는 (Energy Management System)의 에너지 관리 관련 기능을 고도화하여 에너지 사용 효율을 극대화하고, System운용상 문제점을 제시할 수 있게 하는 최적의 에너지관리 솔루션으로,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 파악 및 시스템을 종합분석하고, 이를 바탕으로 설비(열원설비)의 최적 운전을 위한 분석정보를 통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입니다.
건물에너지관리 시스템 (BEMS/ZEB-BEMS)
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(BEMS/ZEB-BEMS)이란?
01.
/
에너지 Platform
기존 에너지관련 데이터 리소스 이점 보완
기간계 시스템 및 타 시스템과의 연계 가능
02.
/
DB 중심의 시스템 체계
안정성과 신뢰성 보장
최신 기술이 적용된 감시/제어
정확한 정보제공을 보증하는 DB시스템
03.
/
효율적인 시스템
운영관리, 친환경에너지관리
통합관리를 위한 체계 개선사업
04.
/
최고의 솔루션
효율성이 강화된 업무 개선
최첨단 정보기술 방식 채택
시스템 구성도

기존 에너지관련 데이터 리소스의 이점을 보완하고 넓혀주는 통합된 에너지 Platform 이며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적합하고, 기간계 시스템 및 타 시스템과의 연계가 가능합니다.
각종 에너지원 으로부터 수집된 실시간 정보를 다차원적 기법을 적용하여 에너지 사용현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, 트랜드 및 에너지 모델링을 통한 시뮬레이션 기능도 제공합니다.
구축 목표
Data Presentation Tier
- 개인화된 게시판, 보고서, 상세 분석 정보 제공
Business Applications Tier
- 에너지 비용과 신뢰도에 영향 미치는 모든 동인에 대한 진보된 분석 및 보고
- 서비스 모듈화로 기본 및 옵션 모듈로 적용 가능 (최소 비용 & 최적 효과)
Data Management Tier
- 다양한 소스로부터 발생한 데이터의 완벽한 결합
- 모든 에너지관련 자산에 대한 정보 수집
구축 방안
- 계절, 시간, 운용 상황에 따른 부하변동
- 사업부 단위 또는 프로세스 별 에너지 분석 및 감시
- 열원설비 관리 및 운전가동 계획
- 최대수요전력제어
- 부하관리 (Load aggregating)
- 트랜드 차트릍 통한 비교 분석 기능
- 웹 기반 어플리케이션 통합 관리
- 데이터 품질 분석
- 에너지 효율화 및 비용 관리 – 벤치마킹 등
-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분석 및 관리
- 설비의 에너지 사용량 수집/분석
- 설비운전 데이터 수집/분석
- 에너지원/계통 별/존 별 데이터 수집/분석
시스템 주요 기능
분류 | 내용 | |
H/W | 계측장비 | 전력량계, 유량계, 열량계, 온습도 센서, 풍속계, CO2센서, 재실감지센서, 조도센서 등 |
통신 · 제어장비 | 계측정보 전송장치, 통신장치, Controller 등 | |
S/W | 모니터링 장비 | 모니터, PC, Data 저장서버 및 분석 S/W, 알고리즘 |